[python] 13. 리스트의 요소 개수 알아내기 및 정렬하기
[python] 13. 리스트의 요소 개수 알아내기 및 정렬하기
안녕하세요. 언제나 휴일, 언휴예요.
이전 게시글에서 리스트에 자료를 추가하는 방법과 삭제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알아보았어요.
이번에는 리스트에 보관한 자료 개수를 파악하는 방법과 정렬 및 역순으로 재배치하는 방법을 알아보기로 해요.
파이썬의 리스트의 요소 개수를 구할 때는 파이썬 내장 함수인 len에 리스트를 전달하여 구합니다.
- 내장 함수 len을 이용하여 리스트의 요소 개수 구하기
먼저 1,2,3,4,3,2,4,5 값의 요소를 갖는 리스트를 하나 선언하세요..
>>> lst = [1,2,3,4,3,2,4,5]
내장 함수 len에 입력 인자로 리스트 변수 lst를 전달하고 반환 값을 n 변수에 대입하세요.
>>> n = len(lst)
n값을 출력하면 리스트의 요소 개수인 5를 출력하는 것을 알 수 있어요.
>>> print(n)
5
파이썬의 리스트에서는 sort 함수를 제공하여 값의 순서대로 정렬할 수 있어요. 그리고 입력 인자로 reverse=True를 전달하면 역순으로 정렬할 수 있어요.
- 리스트의 sort 함수로 정렬하기
먼저 3,2,4,6,5,1 값의 요소를 갖는 리스트를 하나 선언하세요.
>>> lst = [3,2,4,6,5,1]
그리고 리스트의 sort 함수를 호출한 후에 값을 출력하세요. 값의 크기 순으로 출력하는 것을 알 수 있어요.
>>> lst.sort()
>>> print(lst)
[1, 2, 3, 4, 5, 6]
리스트의 sort 함수에 reverse=True를 입력 인자로 전달한 후에 값을 출력해 보세요. 역순으로 출력하는 것을 알 수 있어요.
>>> lst.sort(reverse=True)
>>> print(lst)
[6, 5, 4, 3, 2, 1]
파이썬의 리스트에서는 보관한 요소의 순서를 역순으로 재배치할 때 reverse 함수를 제공합니다. 즉, 보관한 순서가 거꾸로 뒤집히는 거예요.
리스트의 reverse 함수 호출로 보관한 순서를 역순으로 재배치하기
2, 3, 4, 1 값을 갖는 리스트를 선언하세요.
>>> lst = [2,3,4,1]
리스트의 reverse 함수를 호출한 후에 출력해 보세요. 원래 순서와 역순인 1, 4, 3, 2 순으로 출력하는 것을 알 수 있어요.
>>> lst.reverse()
>>> print(lst)
[1, 4, 3, 2]
앞으로 프로그래밍 관련 글은 새롭게 개설한 언제나 휴일 전용 사이트에서 만나보세요.
2017년 1월 1일까지 이 곳의 프로그래밍 자료는 http://ehpub.co.kr 로 옮길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