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Turning Point (언제나 휴일2, IT 소설)
10. Turning Point (언제나 휴일2, IT 소설)
그저께부터 MFC의 대한 강의가 시작되었다.
MFC의 기본 구에 대해 Win32API와의 관계를 비교를 하면서 설명을 해 주셨다. Win32API에서 왜 Application과 Window, Document 클래스들로 나누어서 학습을 하라고 했는지 이해가 가지 않았었는데 MFC에 대한 첫 강의를 받고 나니 알 수 있었다.
어제는 회원 관리 프로그램을 MFC로 작성해 보았는데 Visual Studio 2008의 속성 창을 통해 메시지 처리기나 이벤트 핸들러를 추가 할 수 있어서 편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또한, Win32API를 모르고 MFC를 학습을 하는 이들은 어떻게 동작하는 원리를 이해를 할까라는 의구심도 들었다. MFC를 해 보니 공통적인 부분에 대한 Frame을 자동 형성해 주고 통합 개발 환경을 통해 처리해야 할 메시지 처리기, 이벤트 핸들러, 메서드, 컨트롤 변수 등에 대한 추가가 용이해 작업 효율성을 높여 주는 것 같다. 강사님께서 Visual Basic이나 .NET의 Windows Form 프로그래밍, JAVA Swing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파워 빌더나 델파이를 이용한 프로그래밍도 MFC처럼 혹은 그 이상으로 작업 효율성과 신뢰성을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하시는데 어느 정도일지 궁금하다.
오늘은 여러 가지 도형들에 대한 메타 정보를 보관하고 이를 리스트하는 프로그래밍을 작성하라고 하신다. 프로그래밍을 시작한 지 50여분이 지나고 나서 강사님께서 Document 클래스에서 관리할 여러 가지 도형들에 대한 클래스의 관계를 어떻게 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신뢰성이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을 해 주셨다. 또한, Win32API 시작하면서 얘기하셨던 MVC에 대한 얘기를 다시 정리해 주셨다. 앞으로 개발 방법론이나 디자인 패턴들에 관한 학습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Win32API와 소켓 통신 강의에서는 힘들었지만 이번 MFC강의를 계기로 다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참고
언제나 휴일2
4. 미션1 클리어, Next Go Go! (언제나 휴일2, IT 소설)
5. 이상한 나라의 강리스 (언제나 휴일2, IT 소설)
14. Hello, .NET!!! (언제나 휴일2, IT 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