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선형 자료구조 3

[C언어 알고리즘] 3.4 이진 탐색 트리

[C언어 알고리즘] 3.4 이진 탐색 트리 이번에는 재귀 알고리즘으로 구현하는 이진 탐색 트리를 알아봅시다. 이진 탐색 트리는 검색 효율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진 트리입니다. 이진 탐색 트리를 살펴보기 전에 먼저 트리가 무엇인지 살펴보기로 해요. 트리는 대표적인 비선형 자료구조입니다. 비선형 자료구조는 자료를 보관하는 구조를 하나의 선의 형태로 표시할 수 없는 자료구조를 말하며 트리와 그래프 등이 있습니다. 그 중에 트리는 뿌리에서부터 계층적으로 자료를 보관하는 자료구조입니다. 트리는 방향성 있는 그래프로 표현하며 사이클이 존재하지 않고(ACycle) 고립 상태가 없는(No Island) 자료구조입니다. 트리는 다음처럼 루트와 서브 트리의 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Tree = {root , sub t..

[C언어 자료구조] 1.1 자료구조(Data Structure)

[C언어 자료구조] 1.1 자료구조(Data Structure)자료구조는 자료를 메모리에 표현하는 구조를 말합니다. 자료구조를 분류할 때는 자료를 보관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는데 일반적으로 선형 자료구조와 비 선형 자료구조로 나누죠. 선형 자료구조는 자료를 보관하는 논리적인 구조를 하나의 선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선형 자료구조에는 배열과 연결리스트, 스택과 큐가 있습니다. 배열은 같은 형태의 자료를 연속적인 메모리에 관리하는 자료구조입니다. 그리고 연결리스트는 노드의 선형 집합이며 노드는 하나의 자료와 다른 노드의 위치 정보인 링크로 구성합니다. 스택과 큐는 단순히 자료를 보관하고 꺼내는 동작을 제공하며 스택은 최근에 보관한 자료를 꺼내는 LIFO(Last In First Out), 큐는 먼..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자료구조 자료구조 자료를 보관하는 구조로 자료의 표현뿐만 아니라 관련 연산을 포함한 개념 자료구조의 종류 선형 자료구조: 하나의 선의 형태로 자료를 보관한 구조를 표현할 수 있음 비선형 자료구조: 하나의 선의 형태로 자료를 보관한 구조를 표현할 수 없음 선형 자료구조의 종류 배열 : 연속적인 프로그램 메모리에 데이터를 관리, 순차적 선형 자료구조 스택: 가장 최근에 보관한 것을 먼저 꺼내는 LIFO(Last In First Out) 방식의 버퍼 큐 :가장 먼저 보관한 것을 먼저 꺼내는 FIFO(First In First Out)방식의 버퍼 데크: 맨 앞이나 뒤로 자료를 저장하거나 꺼낼 수 있는 버퍼 리스트: 노드들의 선형 집합, 노드는 데이터와 링크의 조합, 링크는 다른 노드의 위치 정보 *연결 리스트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