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케치 2

[아두이노] 3. 첫 번째 스케치

[아두이노] 3. 첫 번째 스케치 이번에는 아두이노 프로그램으로 스케치를 해 보기로 해요. 스케치 코드를 편집하고 컴파일 한 후에 아두이노 보드로 업로드하여 실행 태스크를 만드는 작업을 말합니다. 아두이노 보드를 컴퓨터에 연결하면 자동으로 장치를 찾아 설치합니다. 아두이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포트를 설정하세요. 환경에 따라 포트 번호는 다를 수 있어요. 이제 코드를 편집합시다. 여기에서 편집할 내용은 시리얼 포트로 "Hello World!" 문자열을 1초 주기로 전송하는 코드입니다. setup 함수는 시작할 때 한 번 수행하는 루틴으로 태스크 초기에 해야 할 작업을 설정할 함수입니다. 여기에서는 시리얼 포트의 통신 속도를 설정하는 코드를 추가하세요. 시리얼 통신에 관한 작업은 Searial 클래스를 통해..

[프로젝트 개발 공정 가이드] 3. 요구 분석 및 정의 단계

3. 요구 분석 및 정의 단계 요구 분석 및 정의 단계는 기획 문서를 바탕으로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단계입니다. 그런데 비지니스 프로젝트에서 해야 할 일은 개발자 마음대로 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젝트와 이해 관계가 있는 이해 관계자들의 요구 사항에 맞게 만들어야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요구 분석 및 정의 단계에서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어떠한 이해 관계자들이 있고 이들의 요구 사항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에서 출발합니다. 중요한 이해 관계자와 이들의 요구 사항은 기획 문서로 만들어져 있다면 요구 분석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키텍트는 개발자 뿐만 아니라 기획자와 의뢰자와 의사 소통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기획자에게 요구 사항 및 정의 단계를 진행하기 위해 의뢰자가 무엇을 원하는 것이 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