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키텍쳐링 2

3. 아키텍쳐링

3. 아키텍쳐링 최근에 프로그램 제작에서 유지 보수 비용이 차지하는 비용이 늘어가는 추세입니다. 그리고 이미 전체 제작 비용의 3분의 2 정도가 유지 보수 비용에 들어간다고 합니다. 이는 프로그램 제작 시에 유지 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개발하는 것이 전체 개발비를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프로그램을 제작할 때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이는 방법은 여러가지 방법이 존재하는데 그 중에 하나가 요소들 간의 종속성을 제거하여 관계를 느슨하게 만들어 유연성 높이는 것입니다. 아키텍쳐링 작업과 설계 작업은 구체적인 구현에 앞서 역할과 기능을 정의하고 관계를 느슨하게 만드는 작업 등을 수행합니다. 이 책의 많은 부분은 아키텍쳐링과 설계 작업을 다룰 것입니다. 필요하면 개발 방법론을 다루는 별도의 레퍼런스를 참고..

[프로젝트 개발 공정 가이드] 2. 프로젝트 개발 공정 개요

2. 프로젝트 개발 공정 개요 비지니스 프로젝트를 개발할 때 어떠한 공정으로 진행하는 것인지 연구하는 곳은 많습니다. 그리고 이를 특정 개발 방법론으로 소개를 하는데 여기에서는 CBD 개발 방법론을 기본으로 소개할 것입니다. CBD 개발 방법론은 어러 개의 서브 프로젝트를 컴포넌트화하여 이들 사이의 관계를 정의하여 개발하는 방법론입니다. CBD 개발 방법론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중간 결과물들은 CASE 도구(Rose, Together, StarUml,...)를 사용하는 부분이 생깁니다. 일부 개발자들은 CASE 도구에 의해 만드는 중간 결과물을 상사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며 실효성이 떨어져서 전체 비용을 증가시킨다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는 개발 공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왜 그러한 것들을 만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