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자 계산기 구조 6

[계산기 구조] 입출력 장치

입출력 장치 이번에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인 전자계산기 구조의 입출력 장치를 살펴보아요. 입출력 장치 키보드나 마우스처럼 프로그램에 자료를 전송하는 장치를 입렬 장치라고 말합니다. 프린터나 모니터처럼 프로그램의 자료를 수신하는 장치를 출력 장치라고 말합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CPU나 메모리와 입출력 장치 사이에 자료 전송과 수신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장치 장치마다 속도, 전압 레벨, 전송 사이클 길이의 차이가 있어서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필요합니다. I/O 버스 데이터 전송로 I/O 제어기 DMA(Direct Memory Access) 제어기, 채널 제어기 등이 있습니다. 제어 신호의 논리적, 물리적 변환과 오류를 제어합니다. 데이터 버퍼링을 통해 장치 간의 속도 차를 조절합니다. 입출력 흐름과 장..

[계산기 구조] 명령어 방식

명령어 방식 이번에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인 전자계산기 구조의 명령어 방식을 알아보아요. 명령어 방식 명령어는 명령부(OP Code + Mode)와 자료부(주소필드, Operand)로 구성합니다. 이 중에 자료부(Operand 부)에 올 수 있는 개수에 따라 명령어 방식을 구분합니다. 0주소 명령어(0 Address Instruction) 1주소 명령어(1 Address Instruction) 2주소 명령어(2 Address Instruction) 3주소 명령어(3 Address Instruction) 0주소 명령어(0 Address Instruction) OP Code 부만 있고 주소를 지정하는 자료부(Operand 부)가 없는 명령어 모든 연산은 Stack 메모리의 TOP(Stack 포인터)이 가리..

[계산기 구조] 명령어 주소 결정 방식

명령어 주소 결정 방식 이번에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인 전자계산기 구조의 명령어 주소 결정 방식을 알아보아요. 명령어의 주소 필드를 사용하는 방식에는 직접 모드, 간접모드가 있습니다. 이 외에 묵시적 모드, 즉시적 모드, 계산에 의한 방식이 있습니다. 직접 모드(Direct Mode) 주소 필드(Operand)에 사용할 자료의 주소를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주소 길이는 메모리 크기가 2의 n승일 때 n비트로 제약을 받습니다. 직접 모드(Direct Mode) 간접 모드(Indirect Mode) 주소 필드 주소 필드(Operand)에 사용할 자료가 있는 주소를 저장한 주소를 표현 최소한 주기억 장치를 두 번 이상 접근해야 사용할 자료가 있는 장소에 도달합니다. 주소 필드로 접근할 주소를 표현할 수 없을 ..

[계산기 구조] 컴퓨터 명령어(Instruction)

컴퓨터 명령어(Instruction) 이번에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인 전자계산기 구조의 컴퓨터 명령어를 알아보아요. 컴퓨터 명령어(Instruction) 연산종류와 주소 결정 방식, 주소 필드로 구성합니다. 컴퓨터 명령어(Instruction)의 구조 연산 종류(OP Code) 수행할 연산자를 표시하며 Operation Code여서 OP Code라 부릅니다. 함수 연산, 자료 전달 연산, 제어 연산, 입출력 연산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함수 연산은 ADD, SUB, MUL, DIV, 산술 쉬프트 등의 산술 연산과 AND, OR, NOT, XOR, 논리 쉬프트, 로테이션 쉬프트, Complement, Clear 등의 논리 연산이 있습니다. 자료 전달 연산에는 Load, Store, Move, Push, ..

[계산기 구조] 디코더(Decoder), 인코더(Encoder)

디코더(Decoder), 인코더(Encoder) 이번에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인 전자계산기 구조에서 디코더(Decoder)와 인코더(Encoder)를 살펴보아요. 디코더(Decoder) n개의 입력의 조합으로 2의 n승개를 출력하는 회로 디코더 인코더(Encoder) 2의 n승개의 입력으로 n개를 출력하는 회로 인코더 너와 나의 연결고리 "공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