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루트 4

[C언어 알고리즘] 3.4.1 트리의 용어

[C언어 알고리즘] 3.4.1 트리의 용어[그림 3.7] 트리의 구조 트리에는 부모가 없는 노드가 없거나 유일합니다. 그리고 이를 루트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트리에서 자료를 보관하는 것을 정점(Vertex) 혹은 노드(Node)라고 부르며 정점에서 다른 정점으로 가는 경로를 간선(Edge) 혹은 링크(Link, 다른 노드의 위치 정보)라고 부릅니다. 언제나 트리의 정점은 간선 개수보다 1개 많습니다. N(V) = N(E)+1 , N(V)는 정점의 개수, N(E)는 간선의 개수 루트에서 자신에게 걸리는 거리를 레벨(Level)이라 부르고 루트를 Level 1로 출발합니다. 그리고 가장 높은 레벨(Level)을 트리의 높이(Height) 혹은 깊이(Depth)라고 부릅니다. 간선은 링크 혹은 가지라고도 부르..

1. 제곱근 [중3 수학]

1. 제곱근 제곱근 어떤 수 x를 제곱하였을 때의 수가 a일 때 x를 a의 제곱근이라고 말합니다. 예) 따라서 9의 제곱근은 3과 -3입니다. 제곱근의 특징양수의 제곱근은 양수와 음수인 제곱근 2개가 있으며 절대값은 서로 같습니다. 0의 제곱근은 0입니다. 중학 수학에서는 제곱해서 음수를 만드는 수를 배우지 않습니다. 제곱근의 표현제곱근 기호를 '루트(root)'라고 읽습니다.

교육/중3 수학 2016.04.20

[데이터베이스] 트리

트리 트리(Tree): 방향성 있고 사이클이 없고 고립 영역이 없는 그래프 정점(Vertext or Node)과 간선(Edge or Branch)으로 표현할 수 있음 정점의 개수가 N이면 간선의 수는 N-1 트리의 용어 루트(Root): 트리 계층의 맨 위에 있는 노드, 부모가 없는 노드 레벨(Level): Root를 1로 출발해서 자신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거리 높이(Height): 트리의 가장 높은 Level, 깊이(Depth)라고도 부름 가지(Branch): 부모와 자식간의 경로(간선) 조상(Ancestors): 자신에게 오기 위한 경로에 있는 모든 노드들 부모(Parent): Level N인 노드와 연결된 Level N-1인 노드 자식(Son): Level N인 노드와 연결된 Level N_+1인..

7.1 트리의 용어 [디딤돌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with C++]

7.1 트리의 용어 트리에는 부모가 없는 노드가 없거나 유일합니다. 그리고 이를 루트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트리에서 자료를 보관하는 것을 정점(Vertex) 혹은 노드(Node)라고 부르며 정점에서 다른 정점으로 가는 경로를 간선(Edge) 혹은 링크(Link, 다른 노드의 위치 정보)라고 부릅니다. 언제나 트리의 정점은 간선 개수보다 1개 많습니다. N(V) = N(E)+1 , N(V)는 정점의 개수, N(E)는 간선의 개수 루트에서 자신에게 걸리는 거리를 레벨(Level)이라 부르고 루트를 Level 1로 출발합니다. 그리고 가장 높은 레벨(Level)을 트리의 높이(Height) 혹은 깊이(Depth)라고 부릅니다. 간선은 링크 혹은 가지라고도 부르며 Level N인 노드로 가기 위한 Level 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