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호비트 2

[계산기 구조] 실수 데이터 표현(부동 소수점)

실수 데이터 표현(부동 소수점) 부동소수점 표기 부호 비트, 지수부, 가수부로 나누어 표현 부호비트 최상위 비트는 부호 비트(0:부호 없음, 1:부호 있음-음수) 지수부 0승을 기준 표현(Bias)으로 정하여 지수부의 값을 더해서 표현 예) 64바이어스일 때 2의 6승 바이어스인 64를 이진수로 표현하면 1000000 이진수 1000000를 0승으로 취급 6은 이진수로 110 바이어스에 6을 더하면 1000110 가수부 소수점 이하 자리만 표현 예) 1.101011 소수점 이하 자리인 101011만 표횬 예) 부호비트1, 지수부 8, 가수부 23 자리, 127바이어스로 -12.625를 표현하면 부호비트는 1 12.625 = 8(2의 3승) + 4(2의 2승)+0.5(2의 -1승) + 0.125(2의 -3..

12. 부호있는 정수 표현 - 부호비트 필드

12. 부호있는 정수 표현 - 부호비트 필드 메모리에 부호있는 정수를 표현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어요. 그 중에 대표적인 방법이 부호비트 필드 방식, 1진 보수 방식, 2진 보수 방식이 있죠. C언어의 정수 형식은 2진 보수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요. 이제 이 세가지 방법을 알아봅시다. 먼저 부호 비트를 이용하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부호비트 필드 방식에서는 첫 번째 비트를 부호비트로 사용하는 방식이예요. 첫 번째 비트가 1이면 부호있는 정수이고 0이면 부호없는 정수인 것이죠. 그리고 나머지 비트는 크기를 나타내요. 예를 들어 8비트의 메모리에 10010001 값이 들어있다면 첫번째 비트가 1이므로 부호있는 정수예요. 그리고 나머지 비트인 0010001이 크기를 나타내죠. 이진수 0010001은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