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보처리기사 필기 요약 13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장비

네트워크 장비 이번에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인 데이터 통신의 네트워크 장비를 알아보아요. 라우터(Router) 패킷의 경로를 선택하고 전달하는 장치 게이트웨이(Gateway)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진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브리지(Bridge) LAN을 상호 접속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장치 리피터(Repeater) 원래 신호 형태로 재생하여 다시 전송하는 장치 허브(Hub) 다수의 컴퓨터 단말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장치 전용 회선(Leased Line) 송수신 간에 고정 상태의 통신 회선입니다. P2P 방식이나 Multi Drop(멀티 포인트로도 부릅니다.) 방식으로 연결합니다. 전송 속도가 빠르가 오류가 적습니다. 교환 회선(Switch Line) 교환기에 의해 송수신 간 연결하는 ..

[소프트웨어 공학]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Life Cycle)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Life Cycle) 이번에는 정보처리필기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를 살펴보기로 해요.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개발 방법론에 따라 소프트웨어 개발 공정을 단계별로 나눈 것 비용 산정과 개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기본 골격 용어의 표준화를 가능하게 한다. 문서화가 충실한 프로젝트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모델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를 표현하는 방법 프로토 타입 모델, 폭포수 모델, 나선형 모델 등이 있다. 프로토타입(Prototype) 모델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견본(Prototype)을 만들어 예측하는 모델 요구 수집=>빠른 설계=>프로토타입 구축=>고객평가=>프로토타입조정=>구현 소프트웨어 생명주기에서 유지보수가 없어지고 개발 단계 안..

[운영체제] 스케쥴링

스케쥴링 이번에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인 운영체제의 스케쥴링에 관해 알아보기로 해요. 스케쥴링 어느 작업이 CPU를 사용할 것인지 결정하는 작업 문맥 교환(Context Switching) 작업을 통해 프로세스는 이전에 수행했던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좋은 스케쥴링 CPU 사용 효율이 높게 스케쥴링합닌다. 우선 순위가 높은 프로세스를 먼저 수행하고 처리합니다. 문맥 교환에 들어가는 오버헤드를 최소화합니다. 작업을 요청하였을 때 반응하는 데 걸리는 응답 시간(Response Time)을 최소화합니다. 프로세스를 시작하여 실행을 완료하는 데 걸리는 반환 시간(Trun Around Time)을 최소화합니다. 무한정 대기하는 작업이 발생하지 않게 합니다. 비선점형(Non Preemptive) 스케쥴링 ..

[운영체제] 프로세스

프로세스 이번에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인 운영체제의 프로세스를 알아보아요. 프로세스 "동작 중인 프로그램" 프로시저의 활동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실행 단위 비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 PCB의 존재로서 명시되는 것 프로세스 상태 프로세스 상태 IDLE: 프로그램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프로세스가 아님) READY: 대기 상태, 스케쥴러에 의해 자신의 순서를 대기하고 있는 상태 스케쥴러에 의해 자신의 순서가 오면 Disptch하여 RUN 상태로 전이 RUN: 실행 상태 CPU를 사용 중인 상태, CPU 사용이 끝나면 READY 상태로 전이 비정상적인 작업으로 SUSPENDED 상태로 전이 모든 작업이 끝나면 IDLE 상태로 전이 입출력 요청이 오면 BLOCK 상태로 전이 BLOCK: 요청한 입출력 수행 완..

[운영체제] 운영체제

운영체제 이번에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인 운영체제의 기본적인 개념을 살펴보기로 해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컴퓨터 시스템을 관리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컴퓨터의 CPU, 메모리 및 주변 장치를 관리하여 응용 프로그램이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시스템 소프트웨어 응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고 컴퓨터 시스템이 동작시키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운영체제, 장치 드라이버, 컴파일러, 어셈블러, 링커, 라이브러리 등이 있습니다.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종류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시스템을 제어하는 역할과 응용 프로그램의 요청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시스템의 동작을 감시, 감독하는 작업과 작업을 처리하고 자료를 관리하는 시스..

[계산기 구조] 보조기억 장치

보조기억 장치 이번에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인 전자계산기 구조의 보조기억 장치를 알아보아요. 보조기억 장치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 순차적으로 읽거나 쓰기만 가능하며 랜덤 액세스할 수 없습니다. 블록 단위로 자료를 읽거나 쓸 수 있고 블록 사이에 GAP이 있습니다. 블록 팩터는 1블록에 들어갈 수 있는 자료를 말합니다. 블록 팩터 = 레코드 크기/블록 크기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순차적 접근과 랜덤 액세스가 모두 가능하여 DASD(Direct Access Storage Device)라고 말합니다. 디스크가 여러 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디스크는 여러 개의 트랙이 있고 트랙에는 섹터가 있습니다. 서로 다른 디스크의 같은 위치의 트랙들을 실린더라 부릅니다. 자료를 찾기 위해 트..

[데이터베이스] 그래프

그래프 그래프 정점(Vertex)와 간선(Edge)의 입합 트리는 사이클이 없는 그래프 차수: 하나의 정점과 연결한 간선의 수 진입차수(Indegree): 한 정점에 도착하는 간선의 수 진출차수(Outdegree): 한 정점에서 출발하는 간선의 수 경로(Path): 한 정점에서 다른 정점으로 가는 간선 집합 단순 경로(Simple Path): 같은 간선을 지나가지 않는 경로 사이클(Cycle): 시작과 끝이 같은 경로 최소신장트리(Minimal Spanning Tree) 그래프에서 정점과 정점사이의 경로를 최소 비용으로 구성한 트리 간선 작업(AOE, Activity On Edge) 네트워크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작업 순서를 나타낸 방향있는 그래프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은 게시판으로 별도로 다루고 있습..

[데이터베이스] 스택과 큐, 데크

스택과 큐, 데크 스택(Stack) 가장 최근에 보관한 자료를 먼저 꺼내는 LIFO(Last In First Out)방식의 자료 구조이다. 리스트의 한쪽으로 삽입과 삭제 연산을 수행한다. 스택의 특징 가장 최근에 자료를 보관한 위치를 기억하며 Top이라 부른다. 자료를 보관하는 연산을 Push라고 부른다. 자료를 꺼내는 연산을 Pop이라 부른다. Push 연산 IF Top>= MAX Then //꽉 차면 Overflow //버퍼 오버플로우 Else //꽉 차지 않을 때 Top = Top +1 //Top 위치를 1 증가 Buffer[Top] = data //버퍼의 Top 위치에 data 보관 Pop 연산 IF Top=0 Then //비었으면 Underflow //버퍼 언더플로우 Else data = Buf..

[데이터 베이스] 배열과 연결리스트

[데이터 베이스] 배열과 연결리스트 배열 배열을 다른 이름으로 선형리스트라고 부른다. 연속적인 메모리에 저장하는 리스트, 순차 자료구조이다. 배열을 이용하여 스택, 큐, 데크를 구현할 수 있다. 배열의 특징 가장 간단하다. 접근 속도가 빠르다. 자료를 보관할 때 (n+1)/2개의 자료를 이동해야 한다. 자료를 삭제할 때 (n-1)/2개의 자료를 이동해야 한다. 자료를 보관하기 위한 메모리 외에 다른 메모리를 할당하지 않아 메모리 효율이 1이다. 연결리스트 노드들의 선형 집합, 순차 자료구조가 아니다. 노드는 자료와 링크로 구성 링크는 다른 노드의 위치 정보 연결리스트의 특징 배열에 비해 삽입, 삭제 연산이 간단하다. 자료를 보관하는 메모리 외에 링크 부분이 필요하므로 메모리 효율이 배열보다 떨어진다. 링..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자료구조 자료구조 자료를 보관하는 구조로 자료의 표현뿐만 아니라 관련 연산을 포함한 개념 자료구조의 종류 선형 자료구조: 하나의 선의 형태로 자료를 보관한 구조를 표현할 수 있음 비선형 자료구조: 하나의 선의 형태로 자료를 보관한 구조를 표현할 수 없음 선형 자료구조의 종류 배열 : 연속적인 프로그램 메모리에 데이터를 관리, 순차적 선형 자료구조 스택: 가장 최근에 보관한 것을 먼저 꺼내는 LIFO(Last In First Out) 방식의 버퍼 큐 :가장 먼저 보관한 것을 먼저 꺼내는 FIFO(First In First Out)방식의 버퍼 데크: 맨 앞이나 뒤로 자료를 저장하거나 꺼낼 수 있는 버퍼 리스트: 노드들의 선형 집합, 노드는 데이터와 링크의 조합, 링크는 다른 노드의 위치 정보 *연결 리스트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