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향가 3

향가 7. 잣나무 아래에서의 약속을 노래하다. , "원가"

원가 신충(신라 효성왕 때) 物叱乎支栢史 물질호질백사 뜰에 잣나무가 물길러 지고 秋察尸不冬爾屋支墮米 추찰시부동이옥분타미 가을에 말라 떨어지지 아니하니 가득찬 물동이를 짊어 汝於多支行齊敎因隱 여어다복행제교인은 너를 중히 여거 가겠다 하였으나 님이 사랑스러운 모습을 갸옷이 보다가 仰頓隱面矣改衣賜乎隱冬矣也 양돈은면의개의사호은동의야 낯이 변해 버리신 겨울이여 기우뚱한 물동이에 月羅理影支古理因淵叱 월라리영고리인연지질 달 그림자 내린 연못에 달은 비치고 좋으나 行尸浪 阿叱沙矣以支如支 행사랑아질사의이복여복 지나가는 물결의 모래로다. 행여나 엎질러질까 얼른 이고 짊고서도 皃史沙叱望阿乃 예사사질망아내 모습이야 바라보나 모르길 바라니 世理都 之叱逸烏隱第也 세리도지질일오은제야 세상 모든 것 여희여 버린 처지여. 가지런히 내..

향가 3. 극락 왕생을 기원, "풍요"

풍요 작자미상(신라 선덕여왕 때) 來如來如來如 (래여래여래여) 온다. 온다. 온다. 來如哀反多羅 (래여애반다라) 온다. 서러운 이 많아라. 哀反多矣徒良 (애반다의도량) 서러운 중생들이여 功德修叱如良來如 (공덕수질여량내여) 공덕 닦으로 온다.작가작자미상(양지 스님이 불렀다고 하지만 작가가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답니다.) 갈래4구체 향가 특징노동요 기록삼국유사 권4 '양지사석' 시기신라 선덕여왕 때 다른 향가 보기향가 1. 백제 무왕의 선화 공주를 향한 노래 "서동요"향가 2. 혜성을 보고 왜병으로부터 나라를 구하다. "혜성가"향가 3. 극락 왕생을 기원, "풍요"향가 4. 극락에서 다시 태어나길 바라는 마음, "원왕생가"향가 5. 사모의 정, "모죽지랑가"향가 6. 생명을 건 사랑? "헌화가"향가 7. 잣나..

향가 1. 백제 무왕의 선화 공주를 향한 노래 "서동요"

서동요 무왕 善化公主主隱(선화공주주은)선화 공주님은 他密只嫁良置古(타밀지가량치고)남 몰래 정을 통해 놓고 薯童房乙(서동방을)서동을 夜矣卯乙抱遺去如(야의란을포견거여)밤에 몰래 안고 간다.창작 시기서동요는 신라 진평왕 때(599년 이전)에 만들어진 동요 기록일연의 형식4구체 향가 관련 장소부여 궁남지[부여] 선화공주와 서동의 이야기 서동요, 궁남지[부여 여행] 궁남지, 여름이 오는 길목에서[충남 부여] 궁남지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위키 백과 서동요 다른 향가 보기향가 1. 백제 무왕의 선화 공주를 향한 노래 "서동요"향가 2. 혜성을 보고 왜병으로부터 나라를 구하다. "혜성가"향가 3. 극락 왕생을 기원, "풍요"향가 4. 극락에서 다시 태어나길 바라는 마음, "원왕생가"향가 5. 사모의 정, "모죽지랑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