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로그래밍 기술 604

[안드로이드] 4. 두 번째 예제 - 버튼과 메시지

두 번째 예제 - 버튼과 메시지버튼을 클릭하면 메시지를 출력하는 앱을 만들어 봅시다. 시작화면에는 버튼이 보입니다. [그림] 시작화면 버튼을 클릭하면 "안녕하세요." 메시지가 화면에 나타납니다. [그림] 버튼 클릭시 메시지 표시 1. 프로젝트 생성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메뉴 [File]=>[New Project]를 선택하세요. Create new Project 창이 뜨면 Application Name을 결정합니다. 프로젝트 이름은 Ex_Button 으로 정할게요.[그림] 프로젝트 이름 결정 Target Android Devices 창이 뜨면 자신에게 적합한 장치를 선택하세요.[그림] 장치 선택 Add an activity to Mobile 창이 뜨면 Blank Activity를 선택하여 Next를 누르세요..

[안드로이드] 3. 첫 번째 앱 - Hello Android

첫 번째 앱 - Hello Android Android Studio를 실행하여 Start a new Android Studio project를 선택합니다. [그림] 새로운 프로젝트 시작 앱 이름을 입력하고 프로젝트 위치를 설정합니다.[그림] 앱 이름 및 위치 지정 자신에 맞는 Devices를 선택합니다.[그림] 장치 선택 앱의 액티비티를 선택합니다.[그림] 액티비티 선택 액티비티 이름을 결정하세요.[그림] 액티비티 이름 결정 처음 만들 때 오늘의 팁이 나옵니다. 필요 없으면 Show Tips on Startup 체크 박스를 선택 해제하세요.[그림] Tip of the Day 이제 실행하면 HelloAndoid 앱이 동작합니다.[그림] Run [그림] 실행 화면관련 게시글 [안드로이드] 1. 개발환경 - ..

[안드로이드] 2. 개발환경 - 안드로이드 Studio 설치

2. 개발환경 - 안드로이드 Studio 설치안드로이드 개발환경을 구축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JDK 다운로드 및 설치 2. 안드로이드 Studio 다운로드 및 설치 3. 안드로이드 환경 설정 4. 안드로이드 SDK 업데이트 5. AVD(안드로이드 가상 장치) 만들기 안드로이드 Studio는 Download Android Studio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DOWNLOAD ANDROID STUDIO FOR WINDOWS 버튼을 클릭하세요.[그림] Download Android Studio 사이트 Download 전에 동의해야 합니다.[그림] 동의 동의 후에 DOWNLOAD ANDROID STUDIO FOR WINDOWS 버튼을 클릭하세요.[그림] DOWNLOAD ANDROID ..

[안드로이드] 1. 개발환경 - JDK 설치

1. 개발환경 - JDK 설치안드로이드 개발환경을 구축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JDK 다운로드 및 설치 2. 안드로이드 Studio 다운로드 및 설치 3. 안드로이드 환경 설정 4. 안드로이드 SDK 업데이트 5. AVD(안드로이드 가상 장치) 만들기 JDK는 오라클 기술 네트워크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오라클 기술 네트워크 사이트에서 Java SE를 클릭합니다.[그림] 오라클 기술 네트워크 사이트 JDK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합니다.[그림] JDK 다운로드 Accept License Agreement 를 체크하여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는 파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합니다.[그림] 다운로드 다운로드한 파일을 실행하여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그림] SETUP 화면 Custom Se..

[운영체제]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이번에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인 운영체제의 페이징 교체 알고리즘을 알아보기로 해요.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자주 사용하지 않는 부분을 보조 기억 장치의 페이지 파일로 매핑하는 알고리즘 LRU, LFU, NUR, FIFO, MFU, OPT, SCR 등이 있습니다. LRU(Least Recently Used) 최근에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 페이지마다 계수가(Counter)와 스택(Stack)을 두어 사용할 때마다 계수를 카운팅합니다. LFU(Least Frequentyl Used) 사용 횟수가 가장 적은 페이지를 교체 NUR(Not Used Recently) 최근에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 최근에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참조 비트와 변형 비트를 사용합니다. 참조 비트: 페이..

[운영체제] 주기억장치

주기억장치 이번에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인 운영체제의 주기억장치를 살펴보아요. 주기억장치 (RAM과 ROM) 주기억장치 할당 기법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 할당하는 기법을 말합니다. 연속 로딩 기법(단일 분할 할당, 다중 분할 할당)과 분산 로딩 기법(페이징, 세그먼테이션)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단일 분할 할당 한 순간에 하나만 주기억장치의 USER 영역을 사용하는 기법 초기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던 기법으로 가장 단순한 방법입니다. 운영체제가 사용하는 KERNEL 영역과 해당 프로세스의 USER영역을 구분하는 경계(Boundary) 레지스터를 사용합니다. 오베레이 기법과 스와핑 기법을 사용합니다. 오버레이(Overlay) 프로그램의 메모리가 주기억장치보다 클 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 하..

[운영체제] 기억장치

기억장치 이번에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인 운영체제의 기억장치를 알아보아요. 기억장치 메모리 종류 특수 기억장치: 레지스터, 캐시 메모리,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메모리 속도 레지스터 → 캐시 → 주기억 장치 → 보조기억 장치 Access Time 기억 장치에 읽기 요청에서 자료를 꺼내서 사용 가능할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 Access Time = Seek Time(탐색 시간) + Latency Time(회전 지연 시간) + Transmission Time(전송 시간) 전체 시간 중에 Seek Time이 제일 오래 걸립니다. Cycle Time 기억 장치에 읽기 신호와 다음 읽기 신호 사이의 간격 Cycle Time ≥ Access Time 대역폭 1초 동안 전송하는 최대 자료량 너와 나의 연결고리 "..

[운영체제] 병행 프로세스에서 고려사항

병행 프로세스에서 고려사항 이번에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인 운영체제의 병행 프로세스에서 고려 사항을 살펴보아요. 병행 프로세스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동작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두 개의 프로세스가 경쟁하여 자원을 사용할 때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쟁 상태에 있을 때 임계 영역에 서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야 합니다. 경쟁 자원 두 개 이상의 작업이 경쟁하여 사용하는 자원 경쟁 상태(Race Condition) 두 개 이상의 작업이 경쟁 자원을 사용하려는 상태 임계 영역(Critical Section) 경쟁 자원을 사용하는 영역 상호 배제(Mutual Exclusion) 두 개 이상의 작업이 동시에 임계 영역에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기법 세마포어(Semaphore) 여러 개의 프로세스의 ..

[운영체제] 스케쥴링

스케쥴링 이번에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인 운영체제의 스케쥴링에 관해 알아보기로 해요. 스케쥴링 어느 작업이 CPU를 사용할 것인지 결정하는 작업 문맥 교환(Context Switching) 작업을 통해 프로세스는 이전에 수행했던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좋은 스케쥴링 CPU 사용 효율이 높게 스케쥴링합닌다. 우선 순위가 높은 프로세스를 먼저 수행하고 처리합니다. 문맥 교환에 들어가는 오버헤드를 최소화합니다. 작업을 요청하였을 때 반응하는 데 걸리는 응답 시간(Response Time)을 최소화합니다. 프로세스를 시작하여 실행을 완료하는 데 걸리는 반환 시간(Trun Around Time)을 최소화합니다. 무한정 대기하는 작업이 발생하지 않게 합니다. 비선점형(Non Preemptive) 스케쥴링 ..

[운영체제] 프로세스

프로세스 이번에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인 운영체제의 프로세스를 알아보아요. 프로세스 "동작 중인 프로그램" 프로시저의 활동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실행 단위 비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 PCB의 존재로서 명시되는 것 프로세스 상태 프로세스 상태 IDLE: 프로그램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프로세스가 아님) READY: 대기 상태, 스케쥴러에 의해 자신의 순서를 대기하고 있는 상태 스케쥴러에 의해 자신의 순서가 오면 Disptch하여 RUN 상태로 전이 RUN: 실행 상태 CPU를 사용 중인 상태, CPU 사용이 끝나면 READY 상태로 전이 비정상적인 작업으로 SUSPENDED 상태로 전이 모든 작업이 끝나면 IDLE 상태로 전이 입출력 요청이 오면 BLOCK 상태로 전이 BLOCK: 요청한 입출력 수행 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