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보처리기사 35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모델

데이터 모델 데이터 모델 현실 세계의 정보를 추상화, 단순화 과정을 통해 표현한 개념적 모델 데이터, 관계, 제약 조건 등을 기술하기 위한 개념적 도구의 집합 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에서 논리적 구조(Shema)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 개념적 모델은 속성으로 기술한 개체 타입과 관계를 이용하여 현실 세계를 표현 논리적 모델은 필드로 기술한 데이터 타입과 관계를 이용하여 현실 세계를 표현 스키마 => 모델 => 개체(인스턴스) *정보 모델링: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개체를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정보 구조로 표현하는 과정 *데이터 모델링: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개체를 컴퓨터 환경에 맞게 표현하는 과정 데이터 모델에 표현의 구성 요소 구조(Structure): 데이터베이스에 표현할 대상으로서의 개체 타입과 관계를..

[데이터베이스] 내부정렬

내부정렬 버블 정렬(Bubble Sort) 정렬 범위를 좁혀나가면서 정렬합니다. 인접한 원소끼리 크기를 비교하여 크기에 따라 교환합니다. BubbleSort(Arr:배열, n:원소 개수) Loop(i:= n->1) //i를 n로 초기화하여 점차 1씩 감소시키면서 1까지 반복 Loop(j:=1->i) //j를 1로 초기화하여 점차 1씩 증가하면서 i까지 반복 IF Arr[j-1] > Arr[j] Then //Arr[j-1] 값이 Arr[j]보다 크면 Swap(Arr[j-1], Arr[j]) //Arr[j-1]과 Arr[j]를 교환 선택 정렬(Selection Sort) 정렬 범위를 좁혀나가면서 정렬합니다. 범위 내에서 제일 큰 값(혹은 제일 작은 값)을 찾아 맨 뒤(혹은 맨 앞)의 요소와 교환합니다. Se..

[데이터베이스] 그래프

그래프 그래프 정점(Vertex)와 간선(Edge)의 입합 트리는 사이클이 없는 그래프 차수: 하나의 정점과 연결한 간선의 수 진입차수(Indegree): 한 정점에 도착하는 간선의 수 진출차수(Outdegree): 한 정점에서 출발하는 간선의 수 경로(Path): 한 정점에서 다른 정점으로 가는 간선 집합 단순 경로(Simple Path): 같은 간선을 지나가지 않는 경로 사이클(Cycle): 시작과 끝이 같은 경로 최소신장트리(Minimal Spanning Tree) 그래프에서 정점과 정점사이의 경로를 최소 비용으로 구성한 트리 간선 작업(AOE, Activity On Edge) 네트워크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작업 순서를 나타낸 방향있는 그래프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은 게시판으로 별도로 다루고 있습..

[데이터베이스] 트리

트리 트리(Tree): 방향성 있고 사이클이 없고 고립 영역이 없는 그래프 정점(Vertext or Node)과 간선(Edge or Branch)으로 표현할 수 있음 정점의 개수가 N이면 간선의 수는 N-1 트리의 용어 루트(Root): 트리 계층의 맨 위에 있는 노드, 부모가 없는 노드 레벨(Level): Root를 1로 출발해서 자신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거리 높이(Height): 트리의 가장 높은 Level, 깊이(Depth)라고도 부름 가지(Branch): 부모와 자식간의 경로(간선) 조상(Ancestors): 자신에게 오기 위한 경로에 있는 모든 노드들 부모(Parent): Level N인 노드와 연결된 Level N-1인 노드 자식(Son): Level N인 노드와 연결된 Level N_+1인..

[데이터베이스] 스택과 큐, 데크

스택과 큐, 데크 스택(Stack) 가장 최근에 보관한 자료를 먼저 꺼내는 LIFO(Last In First Out)방식의 자료 구조이다. 리스트의 한쪽으로 삽입과 삭제 연산을 수행한다. 스택의 특징 가장 최근에 자료를 보관한 위치를 기억하며 Top이라 부른다. 자료를 보관하는 연산을 Push라고 부른다. 자료를 꺼내는 연산을 Pop이라 부른다. Push 연산 IF Top>= MAX Then //꽉 차면 Overflow //버퍼 오버플로우 Else //꽉 차지 않을 때 Top = Top +1 //Top 위치를 1 증가 Buffer[Top] = data //버퍼의 Top 위치에 data 보관 Pop 연산 IF Top=0 Then //비었으면 Underflow //버퍼 언더플로우 Else data = Buf..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