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보처리기사 35

[계산기 구조] 메모리 단위

메모리 단위 비트(bit) 0과 1 두 가지 표현을 나타낼 수 있고 2진수로 표현할 수 있다. 자료를 표현하는 최소 단위 2진수로 표현하면 1자리 n개의 비트로 2의 n승 가지를 표현할 수 있고 2진수 n자리로 표현할 수 있다. 니블(nibble) 4개의 비트로 구성 2진수로 표현하면 4자리, 16진수 표현하면 1자리 바이트(byte) 8개의 비트로 구성 메모리 주소를 지정하는 단위 16진수로 표현하면 2자리 영문자와 숫자 문자 등을 표현하는 ASCII 코드는 1바이트 한글은 2바이트 워드(word) 컴퓨터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명령 크기 Half word: 2바이트 Full word: 4바이트 Double word: 8 바이트 KB(Kilo Byte) 1024바이트 2의 10승 바이트 MB(Meg..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Transaction)

트랜잭션(Transaction) 트랜잭션(Transaction) 데이터베이스 응용에서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구성하는 연산의 집합을 말합니다. 원자성(Atomicity), Consistency(일관성), 지속성(Drurability), 독립성(Isolation) 특징을 갖습니다. Commit 연산으로 트랜잭션 작업을 성공으로 완료한다. Rollback 연산으로 트랜잭션 도중에 수행한 모든 연산을 취소한다. 원자성(Atomicity) 트랜잭션의 일부만 수행한 상태로 종료할 수 없다. Consistency(일관성) 트랜잭션을 완료하면 일관상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태로 변환한다.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고정 요소는 트랜잭션 수행 전과 수행 후의 상태가 같아야 한다. 지속성(Drurability) 트랜잭션을 완료한 ..

[데이터베이스] 관계 대수(Relation Algebra)

관계 대수(Relation Algebra) 관계 대수(Relation Algebra) 원하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 어떻게 질의를 수행할 것인지를 기술하는 절차적 언어 참고) 관계 해석(Relation Calculus)은 수학의 Predicate Calculus을 기반으로 관계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하는 기능과 능력면에서 관계대수와 동등합니다. 튜플 해석과 도메인 관계 해석이 있고 관계대수와 대표적인 차이점은 비절차적 특성입니다. 일반집합 연산자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교차곱 연산이 있음 합집합(UNION) 두 개의 릴레이션 중에 하나의 릴레이션에라도 튜플들로 구성 R U S = { t | t∈R V t∈S } |R U S|

[데이터베이스] 뷰(View)

뷰(View) 이번에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인 데이터베이스의 뷰를 알아보아요. 뷰(View) 하나 이상의 테이블에서 유도한 논리 테이블 물리적으로 제공하지 않고 논리적으로 제공한다. 논리적 독립성을 제공한다. 관리가 쉽고 명령이 간단하다. 중요 데이터를 생략하여 보여줄 수 있다. 기본키를 포함하지 않으면 삽입, 삭제, 갱신할 수 없다. ALTER 명령으로 구조를 변경할 수 없다. 뷰를 기초하여 다른 뷰를 만들 수 있다. 만약 기초로 정의한 뷰를 제거하면 이를 기초로 정의한 모든 뷰도 자동 삭제한다. *CREATE 로 생성하고 DROP으로 삭제하는 것은 이미 앞에서 다뤘습니다. *너와 나의 연결고리 "공감"

[데이터베이스] 내장 SQL (Embedded SQL)

내장(Embedded) SQL 이번에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인 데이터베이스에서 내장 SQL을 알아보아요. 내장(Embedded) SQL 응용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기 위해 표현하는 SQL구문 호스트 변수는 SQL변수와 구분하기 위해 콜론(:)을 앞에 붙인다. 'EXEC SQL'을 앞에 붙여 다른 호스트 명령문과 구분한다. 호스트 변수의 데이터 타입은 이에 대응하는 필드의 SQL 데이터 타입과 일치해야 한다. 호스트 시행문이 나타날 수 있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다. SQL문은 주언어 변수의 참조를 사용할 수 있다. 컴파일보다 우선하는 전처리기에 의해 처리한다. *위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문제에서 나온 보기를 정리한 것일 뿐입니다. 실제 언어에 따라 내장 SQL을 표현하는 방법은 비슷하..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조작어(DML)

데이터 조작어(DML) 이번에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인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조작어를 살펴볼게요. 데이터 조작어(DML, Data Manupulation Language) INSERT : 테이블에 새로운 튜플을 추가 DELETE: 테이블에서 조건에 맞는 튜플을 제거 UPDATE: 테이블에서 조건에 맞는 튜플을 수정 SELECT: 원하는 조건에 맞는 튜플을 검색 INSERT INTO 테이블명(속성명, ...) VALUES(값,...); 예: INSERT INTO 학생(학번, 이름, 나이) (20160734, '홍길동', 20) ; DELETE FROM [테이블 명 WHERE 조건]; 전체 삭제: DELETE FROM 학생 DELETE로 모든 레코드를 삭젝하여도 테이블 구조는 남아있어 DROP과는 다릅니다..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정의어(DDL)

데이터 정의어(DDL) 이번에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인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정의어를 살펴볼게요. 데이터 정의어(DDL,Data Define Language) 스키마, 테이블, 도메인, 인덱스, 뷰를 정의, 변경, 삭제할 때 사용 CREATE 스키마, 테이블, 도메인, 인덱스, 뷰를 정의할 때 사용 CREATE TABLE 테이블 이름 (속성명 데이터 타입 [NOT NULL], ..., [PRIMARY KEY(주요 키 속성명), UNIQUE(대체 키 속성명, ...) FOREIGN KEY(외래 키 속성명, ...) CONSTRAINT 제약조건명 CHECK(조건식)] ); ALTER 테이블 정의를 변경할 때 사용 속성 추가: ALTER TABLE 테이블 이름 ADD 속성명 데이터 타입; 속성의 디폴트 값 ..

[데이터베이스] SQL

SQL 이번에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인 데이터베이스의 SQL에 관해 알아볼게요. SQL(Structed Query Language) 관계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컬럼과 여러 제약 조건등의 구조를 정의하고 사용하는 국제 표준 언어 데이터 정의어(DDL), 데이터 조작어(DML), 데이터 제어어(DCL)로 구성 관계대수(Relation Algebra)와 관계해석(Relation Calculus)을 기초로 한 혼합 데이터 언어 데이터 정의어(DDL, Data Define Language) CREATE : 테이블이나 스키마 등을 생성 ALTER : 테이블 정의를 변경 DROP : 테이블이나 스키마 등을 삭제 데이터 조작어(DML, Data Manupulation Language) SELECT: 원하는 조건에 ..

[데이터베이스] 관계 데이터 모델

관계 데이터 모델 이번에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인 데이터베이스의 관계형 데이터 모델을 알아보아요. 관계형 데이터 모델(Relation Data Model) 표로 테이블을 표현 테이블의 속성과 속성 사이의 관계를 표현 주요 키(Primary Key)와 외래 키(Foreign Key)를 마킹하여 관계를 표현 SQL 의 테이블을 표현하기에 적합 1:1, 1:N, M:N 등의 관계 수를 표현할 수 있다. 관계형 데이터 모델 위 그램은 고객 테이블, 예약 테이블, 예약 테이블을 관계 데이터 모델로 표현한 것입니다. 고객 테이블의 주요 키는 번호이며 예약서 테이블의 주요 키는 예약 번호입니다. 그리고 예약 테이블의 번호와 예약 번호는 외래 키입니다. 고객 테이블과 예약 테이블은 1:N 관계에 있고 예약 테이블과 ..

[데이터베이스] 개체 관계 모델 (ER모델)

개체 관계 모델(ER 모델) 이번에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인 데이터베이스의 개체-관계 모델을 살펴보기로 해요. E-R 다이어그램개체(Entity)-관계(Relation) 모델개체, 관계, 속성을 표현하는 개념적 데이터모델 도구로 1976년 Peter Chen에 의해 제안E-R 다이어그램으로 표현개체는 사각형 관계는 마름모 속성은 타원주요 키는 타원 내부에 밑줄관계는 선으로 표시하고 관계 수를 선 위에 표시 확장 E-R 다이어그램속성을 개체와 선으로 연결한 원으로 표시주요 키는 원 내부를 채움너와 나의 연결고리 "공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