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2934

[국문법] 5. 품사

5. 품사 [그림] 품사 품사 단어를 문법적 성질에 따른 분류를 일컫는 말 체언, 용언, 수식언, 관계언, 독립언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체언 문장에서 조사의 도움을 받아 주체의 구실을 하는 말 명사, 대명사, 수사(수량이나 수를 나타내는 단어)가 있습니다. 문자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에 위치합니다. 예: 저것은 나의 책입니다. (대명사: '저것', '나' , 명사: '책') 셋째가 제일 예뻐요. ( 수사: '셋째') 용언 문장에서 대상의 동작과 상태의 성질을 나타내며 서술하는 말 동사와 형용사가 있습니다. 그리고 용언은 주된 의미를 지니는 본용언과 보충하는 보조 용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 숲 속에서 새가 울어요.(동사: '울어요.') 당신은 정말 예뻐요. (형용사: '예뻐요.') 우리 집에 가고..

교육/국문법 2016.04.15

[국문법] 4. 음운의 변동

4. 음운의 변동 음운의 변동 음운의 배치에 따라 발음이 달라지는 현상 끝소리 규칙끝 받침에는 7개의 발음만 사용합니다. ㄲ, ㅋ은 ㄱ으로 바뀝니다. (딲 → [딱]) ㅌ,ㅅ,ㅆ,ㅈ,ㅊ,ㅎ는 ㄷ로 바뀝니다.(꽃 → [꼳]) ㅍ은 ㅂ으로 바뀝니다. (높 → [놉]) 나머지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은 바뀌지 않습니다. 겹받침일 때도 7개의 발음만 사용합니다. (흙 → [흑]) 자음 동화 인접한 두 음운이 설로 닮아지는 현상 밥물 → [밤물], 국물 → [궁물] (ㅁ,ㄴ,ㅇ 비음이 아닌 소리가 비음으로 바뀌는 비음화) 신라 → [실라], 종로 → [종노] (ㄹ 유음이 아닌 소리가 유음으로 바뀌는 유음화) 된소리화(된소리되기)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바뀌는 현상 입술 → [입쑬], 닭장 → (닥짱) 구..

교육/국문법 2016.04.15

[국문법] 3. 자음

3. 자음 자음 허파에서 올라온 공기가 구강 통로(목, 입, 코)를 거쳐 나오면서 장애를 받고 나는 음운 성대 진동의 유무에 따른 분류울림소리(유성음) - 발음할 때 목청이 떨려서 울리는 소리(ㄴ,ㄹ,ㅁ,ㅇ) 안울림소리(무성음) - 성대를 진동시키지 않고 내는 소리(나머지 자음) *울림소리는 부드러운 느낌을 주어 시나 노래에서 라임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소리나는 위치에 따른 분류입술소리(순음) - 두 입술 사이에서 나는 소리 (ㅁ, ㅂ, ㅃ, ㅍ) 잇몸소리(치조음) - 혀끝과 윗잇몸이 서로 닿아서 나는 소리(ㄴ,ㄹ, ㄷ,ㄸ,ㅌ, ㅅ,ㅆ) 센입천장소리(경구개음) - 혓바닥과 센입천장(입천장의 중간 부분) 사이에서 나는 소리(ㅈ,ㅉ,ㅊ) 여린입천장소리(연구개음) - 혓바닥과 여린입천장(입천장의 뒤쪽 부분)사..

교육/국문법 2016.04.15

[국문법] 2. 모음

2. 모음 [그림] 모음의 분류 모음 허파에서 올라온 공기가 구강 통로(목, 입, 코)를 거쳐 나오면서 장애를 받지 않고 나는 음운 발음할 때 입술과 혀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 단모음과 변하는 이중 모음이 있습니다. 단모음 발음할 때 입술과 형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 모음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 이중 모음 발음하는 동안 입술이나 혀의 위치가 변하는 모음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ㅝ, ㅙ, ㅞ, ㅟ, ㅢ 단모음은 혀의 높낮이에 따라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으로 구분합니다. 고모음: 입을 조금 벌리며 입 천장과 혀 사이의 공간이 가장 좁습니다. (ㅜ, ㅟ, ㅡ, ㅣ) 중모음: 입을 중간으로 벌립니다. (ㅓ, ㅔ, ㅗ, ㅚ) 저모음: 입을 크게 벌리며 입 천장과 혀 사이의..

교육/국문법 2016.04.15

[국문법] 1. 음운

1. 음운 [그림] 음운의 분류 음운(音韻)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가장 작은 소리의 단위 음운은 크게 분절 음운과 비분절 음운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분절 음운은 자음과 모음처럼 분리하여 표현할 수 있는 음운을 말합니다. 비분절 음운은 소리의 길이나 높낮이 강약(강세)처럼 분리할 수 없는 음운을 말합니다. 길이 표현 음절이 같지만 소리의 길이가 다를 때 음절 뒤에 대괄호와 함께 장단을 표시합니다. 긴 소리에 :을 붙입니다. 눈[눈]에 눈[눈:]이 들어가니 눈[눈]이 아프다. 눈(eye)는 소리의 길이가 짧고 눈(snow)는 긴 소리입니다. 음절 독립하여 발음할 수 있는 최소 단위로 더 이상 쪼갤 수 없습니다. 초성과 중성 종성으로 구성하며 중성은 반드시 필요한 필수 성분이며 초성과 종성은 선택적으로 올..

교육/국문법 2016.04.15

[고구려 8대 왕] 역사는 승자의 기록? 신대왕

역사는 승자의 기록? 신대왕 고구려의 8대 왕은 신대왕입니다. 신대왕의 이름은 백고 혹은 백구라고 알려졌으며 태조왕의 동생이나 아들 혹은 차대왕의 아들이라고 역사서에 따라 다르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특이한 것은 고구려의 6대 왕인 태조왕과 차대왕이 같은 해에 죽었다는 것이죠. 특히 7대 차대왕은 하급관리였던 명림답부에 의해 죽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명림답부는 신대왕에 의해 최고위직이었던 국상(이전에 좌보와 우보를 단일화한 것으로 신대왕이 만든 직위)으로 임명합니다. 역사서에서는 차대왕을 성질이 포악하고 욕심이 많은 왕으로 표현하고 있고 신대왕은 인자하고 영특한 것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태조왕과 차대왕이 같은 해에 죽은 것이나 차대왕을 시해한 하위관리 명림답부를 최고위직 국상으로 임..

교육/국사 2016.04.15

[고구려 6대, 7대 왕] 태조왕과 차대왕

태조왕과 차대왕 고구려의 6대왕은 태조왕으로 53년~146년까지 왕위를 지켜 한국 역사에서 가장 장기 집권한 것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장기 집권을 통해 요서 지역에 10개의 성을 쌓고 주변 속국들에 정벌 활동을 통해 중앙 집권화를 진행한 업적을 남겼죠. 하지만 132년 무렵부터 왕위에 욕심을 낸 동생 수성의 영향을 받았으며 결국 146년에 왕위를 넘겨줍니다. 왕위를 물려 받은 수성은 고구려의 7대왕 차대왕으로 욕심이 많고 성질이 사나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는 칩거에 들어간 태조왕이 죽었을 때 빈소에 들리지도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태조왕이 죽은 146년 그는 하위관리에 의해 시해되어 생을 마감합니다. 하지만 삼국유사나 삼국사기 에서의 기록과 중국의 후한서의 기록에는 상당한 차..

교육/국사 2016.04.15

[고구려 5대 왕] 어린 폭군 모본왕

어린 폭군 모본왕 고구려의 5대 왕은 3대 왕이었던 대무신왕 무휼의 아들 해우입니다. 대무신왕 무휼이 죽을 당시 그의 나이는 10살이어서 무휼의 동생이 왕위에 오르죠. 하지만 고구려 4대 왕인 민중왕은 병으로 왕위에 오른지 5년만에 돌아가십니다. 15살에 왕위에 오른 해우는 어려서일까요? 아니면 10살에 왕위에 오르지 못하여 5년 동안 칼을 간 것일까요? 암튼 해우는 태자일 때도 포악했었고 왕위에 오르고 난 후에 미친 듯이 행동했었죠. 그의 포악성은 늙은 신하가 선정을 베풀 것을 간청하고 난 후에 활로 쏘아 죽인 것을 보면 과히 광인 수준이었음을 알 수 있어요. 결국 그는 신하 두로에게 암살 당합니다. 그런데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 모본왕을 폭군으로 기술한 것과 두로가 국가를 위해 모본왕을 살해했는지는 ..

교육/국사 2016.04.15

[고구려 4대 왕] 불운한 민중왕

불운한 민중왕 고구려 4대 왕은 대무신왕 무휼의 동생인 민중왕입니다. 대무신왕이 죽고 나서 태자 해우(고구려 5대 왕인 모본왕의 이름)가 너무 어려 무휼의 동생이 왕위에 오릅니다. 하지만 그가 왕위에 오른 후에 자연 재해가 심하였고 민중왕은 재위 5년에 병으로 돌아가십니다. 민중왕에 관한 기록은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서도 잠시 언급할 정도로 남아있는 것이 거의 없습니다. 어질고 성군이었다고 말하고 있지만 너무 짧은 기간 왕위에 있었기에 그럴 수 밖에 없었겠지요. 하지만 어진 민중왕의 짧은 왕위는 고구려 5대 왕인 폭군 모본왕을 탄생시키는 계기가 되었어요. 역사에서 가정은 쓸모없는 얘기지만 그가 좀 더 왕위를 유지하였다면 5대 왕인 모본왕이 폭군의 모습이 아닐 수도 있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교육/국사 2016.04.15

[고구려 3대 왕] 유리왕의 아들, 호동왕자의 아버지 무휼

유리왕의 아들, 호동왕자의 아버지 무휼 고구려의 3대 왕은 유리왕의 셋째 아들의 무휼이며 호동왕자의 아버지입니다. 우리에게는 대무신왕 혹은 대해주류왕으로 알려진 인물이지요. 무휼은 셋째 아들이었지만 큰 형은 병으로 죽었고 둘째 형은 자살하여 왕위를 계승하였습니다. 무휼은 초기 고구려가 빠르게 자리잡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왕입니다. 왕자 시절의 무휼은 동부여의 간섭을 막는데 큰 기여를 합니다. 유리왕은 동부여의 대소왕은 고구려 왕자를 볼모로 데려가는 조건으로 화친을 맺으려 했지만 이를 거절합니다. 하지만 건국 초기라 힘이 부족한 시기라 대소왕이 이를 빌미삼아 공격할 지도 모른다고 걱정했습니다. 무휼은 유리왕에게 자신이 동부여의 사신을 만나 담판을 짓겠다고 말하여 동부여 사신을 만나죠. 무휼은 사신에게 ..

교육/국사 2016.04.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