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작가미상 3

[사설시조] 작자미상작품 개를 여라믄이나 기르되

[사설시조] 개를 여라믄이나 기르되개를 여라믄이나 기르되작자미상개를 여라믄이나 기르되 요 개고치 얄미오랴.뮈온 님 오며는 꼬리를 홰홰 치며 뛰락 내리 뛰락 반겨서 내돋고 고온 님 오며는 뒷발을 버동버동 므으락 나으락 캉캉 즈져서 도라가게 한다.쉰밥이 그릇 그릇 난들 너 머길 줄이 이시랴.작가미상조선 후기 주제님을 기다리는 안타까움*표면적으로 화자와 개의 갈등을 보여주고 있지만 내면적으로는 기다리지 않는 임을 기다리는 화자의 안타까움음을 노래한 것으로 해석* 소재얄미운 개 갈래사설시조 성격해학적, 연정 표현의성어와 의태어 사용으로 사실적, 해학적 수록 문헌청구영언

[사설시조] 작자미상작품 두꺼비 파리를 물고

[사설시조] 두꺼비 파리를 물고두꺼비 파리를 물고작자미상두꺼비 파리를 물고 두엄 위에 치달아 앉아 건넌 산 바라보니 백송골이 떠 있거놀 가슴이 금즉하여 풀떡 뛰어 내돗다가 두험 아래 자빠지거고모쳐라 날랜 낼시망정 에헐질 번하괘라.작가미상조선 후기 주제탐관 오리의 횡포를 풍자 소재두꺼비 갈래사설시조 성격우의적, 풍자적 표현풍자적 수록 문헌청구영언

현존하는 최고(古)의 서정시 "공무도하가"

공무도하가 여옥 公無渡河공무도하 님아 강을 거너지 마오. 公竟渡河공경도하 님은 마침내 강을 건너시네. 堕河而死타하이사 물에 빠져 죽었으니 當奈公何당래공하 임아, 장차 이를 어찌할꼬.작가여옥, 고조선 시대 뱃사공 곽리자고의 아내 갈래고대 가요 주제임과 사별한 슬픔 제재임의 죽음 성격서정적, 애상적, 체념적 작품의 의의 가장 오래된 한국 시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