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국어(고전)

[기행시] 정철의 송강가(松江歌) 관동별곡(關東別曲)

언제나휴일 2016. 12. 22. 18:10
반응형

[기행시] 정철의 송강가(松江歌) 관동별곡(關東別曲)


정철의 송강가(松江歌) 관동별곡(關東別曲)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이 깊어 대나무 [각주:1] 누었더니

관동 팔백리의 관찰사를 맡기시니

, 임금님 은혜는 갈수록 그지없다

연추문[각주:2]으로 달려가 경회문[각주:3] 바라보며

하직하고 물러나니 옥절[각주:4] 앞에  있다


평구역[각주:5]에서 말을 갈아타고 흑수[각주:6]로 돌아드니

섬강은 어디인가? 치악은 여기로구나.

소양강 흘린 물이 어디로 흘러간다는 말인고

외로운 신하가 임금님 곁을 떠남에 백발이 많기도 하다.

동주에서 하루밤을 지세우고 북관정에 오르니

삼각산 제일봉이 웬만하면 보이겠구나.


궁예왕 대궐터에서 까마귀가 지저귀니

천고흥망을 아는가 모르는가

회양[각주:7] 네 이름이 마치 같을시고

급장유[각주:8]의 풍채를 다시 아니 보겠는가?

영중[각주:9]이 무사하고 시절이 삼월인데

화천 시내길이 풍악[각주:10]으로 뻗어 있다.


행장을 다 떨치고 돌길에 지팡이를 지퍼

백천동 곁에 두고 만폭동 들어가니

은같은 무지개, 옥 같은 용의 꼬리[각주:11]

섞어 돌며 뿜는 소리가 십리까지 퍼졌으니

들을 때는 우뢰같더니 보니까 눈같구나.[각주:12]



금강대 맨 위층에 선학이 새끼를 치니

봄바람 옥피리 소리에 첫잠을 깨었고

호의현상[각주:13]이 하늘 가운데 솟으니

서호의 주인을 반겨 노는 듯

소향노 대항노 눈아래 굽어 보고

정양사 진헐대에 다시 올라 앉으니

녀산[각주:14] 진면목이 여기서 다 보이는구나[각주:15]


아, 조물주가 야단스럽구나

날거든 뛰지 말거나 섰거든 솟지 말거나[각주:16]

동해를 박차는 듯, 북극성[각주:17]을 괴고 있는 듯

높을시고 망고대, 외로운 형망봉이[각주:18]

하늘이 치밀어 무슨 일을 알리려고

천만겁 지나도록 굽힐 줄을 모르는가

아, 너[각주:19]로구나, 너 같은 이 또 있는가?


개심대에 다시 올라 중향성 바라보며

만이천봉을 제대로 헤아리니

봉마다 맺혀있고 끝마다 서린 기운

맑거든 깨끗하지 않던가, 깨끗하거든 맑지 말든가

더 기운 흩어내어 인걸을 만들고자

형용도 끝이 없고 형세도 다양하구나


천지가 생겨날 때 자연이 되었지마는

이제 와서 보게 되니 조물주의 깊은 뜻이 담겨있구나

비로봉 꼭대기에 올라간 이는 누구인가?

동산 태산이 어디가 높다던가?

노국[각주:20] 좁은 줄도 우리는 모르거든

넓고 넓은 천하 어찌하여 작다는 말인고

아, 저 경지를 어이하면 알 것인가?


오리지 못하니 내려감이 이상할까?

원통골 좁은 길로 사자봉을 찾아가니

그 앞에 너럭 바위 화룡소가 되었구나.


천년 늙은 용이 굽이 굽이 서려 있어

주야에 흐르게 하여 넓은 바다에 이어있구나

바람과 구름을 언제 얻어 삼일비를 내리는다.

그늘진 언덕의 시든 풀을 다 살려 내는구나


마하연 묘길상 안문재 넘어 내려가

외나무 썩은 다리 지나 불정대에 올라보니

천길절벽을 허공에 세우두고

은하수[각주:21] 큰 굽이를 마디마디 베어 내어

실같이 풀어서 배처럼 걸었으니

도경 열 두 굽이, 내 보기에는 여럿이구나.


이백이 지금 살아있어 다시 의논하게 되면

녀산이 여기보다 낫다는 말을 못하려니

산중[각주:22]을 늘 보랴, 동해로 가자꾸나.

남여를 천천히 걸어 산영루에 올라보니

영롱한 푸른 시냇물과 물 소리 새소리는 이별을 원하는 듯 깃발을 휘날리니

오색이 넘는 듯 북을 치고 나발을 부니 그 기운에 다 걷히는 듯

명사길 익숙한 말이 취선[각주:23]을 비스듬히 실어

바다를 곁에 두고 해당화로 들어가니

갈매기야 날지마라, 네 벗인 줄 어찌 아는가?

금난굴 돌아 들어 총석정 올라보니

백옥루 남은 기둥 다만 넷이 서 있구나.

공수의 작품인가, 귀신이 다듬었는가?


구태여 육면을 만들어 무엇을 본떳는가?

고성은 저만큼 놓아 두고 삼일포를 찾아가니

벼랑에 글씨는 완연하되 사선은 어디 갔는가?

여기서 사흘 머믄 후에 어디 가 또 머물고

선유담 영랑호 거기에나 가 있는가?

천간정 만경대 몇 군데 앉았던가?

배꽃은 벌써 지고 접동새 슬피 울 제

낙산 동쪽 언덕으로 의상대에 올라 앉아

일출을 보려고 밤중에 일어나니

상서로운 구름이 피어나는 듯, 육용이 바치는 듯

바다 해 떠날 때는 만국이 일렁이더니

하늘로 뜨더니 머리카락을 헤아리겠노라.

아마도 지나가는 구름이 근처에 머물세라.


시선[각주:24]은 어디가고 화타만 남았느냐?

천지간 장한 기별 자세히도 하였구나

석양 현산의 철쭉을 이어 밟으니

우개지륜[각주:25]이 경포로 내려가니

십리 빙환[각주:26]을 다리고 다시 다려,

큰 소나무 숲 속에 실컷 펼쳐졌으니

물결도 잔잔하구나 모래를 헤아리겠다.


한척의 배를 띄워 정자 위에 올라가니

강문교 넘어선 곁에 대양이 거기로다.

조용하구나 이 기상, 넓고 아득하다 저 경계,

[각주:27]보다 갖춘 곳이 또 어디 있다는 말인가?

홍장 고사가 야단스럽다 하리다.

강릉 대도호부 풍속이 좋을시고

절효정문[각주:28]이 고을마다 널렸으니

비옥가봉[각주:29]이 이제도 있다 하겠다.

진주관 죽서루 오십천 흘러내린 물이

태백산 그림자를 동해로 담아가니

차라리 한강의 목멱[각주:30]에 닿히고져

왕정[각주:31]의 유한하고 풍경이 실증나지 않으니

유회[각주:32]도 많기도 많구나, 객수도 둘 데가 없다.


선사[각주:33]를 띄워 북두 견우로 향할까?

선인을 찾으러 단혈에 머물까?

하늘 끝을 끝내 보지 못해, 망양정에 올랐더니

바다 밖은 하늘이니 하늘 밖은 무엇인고?

가득 성난 고래[각주:34], 누가 놀라게 하는디

불거니 뿜거니 어지러이 구는 것인가?

은산을 깍아 내어 육합[각주:35]에 내리는 듯

오월 하늘에서 흰눈[각주:36]은 무슨 일인고

잠깐 사이에 밤이 들어 풍랑이 가라앉거늘

부상지척[각주:37]의 밝은 달을 기다리니

서광천당[각주:38]이 보이는 듯 숨는구나.



구슬을 다시 꿰어 옥계을 다시 쓸며

계명성[각주:39] 뜰 때까지 다시 앉아 바라보니

백년화 흰 가지를 누가 보냈는가?

일이 좋은 세계 남에게 다 보이고 싶구나


류하주[각주:40] 가득 부어 달에게 묻는 말이

영웅은 어디가며, 사선은 그 누구던가?

아무나 만나 보아 옛 소식 묻자하니

선산 동해에 갈 길이 멀기도 멀구나.


소나무 뿌리를 베고 누어 선잠을 얼핏 드니

꿈에 한 사람이 나더러 이른 말이

그대를 내 모르랴, 상계진선[각주:41]이라.

황정경 일자를 어찌 잘못 읽어 두고[각주:42]

인간세상 내려와서 우리를 따르는가?


잠깐 가지 마오. 이 술 한잔 먹어 보오.

북두칠성 기울어 푸른 바다 물을 부어 내어

저 먹고 날 먹거늘 서너 잔 기울이니

화풍이 산들산들하여 양쪽 겨드랑이를 추켜드니

구만리 창공에 날아오를 것만 같구나.[각주:43]


이 술 가져다가 사해에 고루 나눠

모든 백성을 다 취하게 만든 후에

그때야 다시 만나 또 한 잔 하자꾸나

말 끝나자 학을 타고 하늘로 올라가니

하늘의 옥피리 소리 어제런가? 그제런가?

나도 잠을 깨어 바다를 굽어보니

깊이를 모르거니 끝인들 어찌 알리.

명월이 천산만낙[각주:44]이 아니 비치는 곳이 없다.



작가: 정철(1536 ~ 1594)

조선 중기 시인, 호는 송강, 칩암거사, 시호는 문청

[시조] 송강 정철 "어와 동량재(棟梁材)를"


이야기

선조 13년(1580), 정철의 나이 45세가 되던 해에 강원도 관찰사로 제수되어 원주에 부임하였을 때 내외금강과 관동팔경을 구경하고 난 후에 고사를 인용하여 경치를  읇은 작품입니다.



  1. [대나무 숲] 담양 [본문으로]
  2. [연추문] 경복궁의 서쪽문 [본문으로]
  3. [경회문] 경회루와 광화문 [본문으로]
  4. [옥절] 임금의 신표 [본문으로]
  5. [평구역] 지금의 양주 [본문으로]
  6. [흑수] 지금의 여주 [본문으로]
  7. [회양] 한나라의 지명에도 있음 [본문으로]
  8. [급장유] 한나라의 장유를 이르는 말로 직언을 잘하는 신하를 뜻하고 있음. 대유법 [본문으로]
  9. [영중] 회양부로 지금의 도청 [본문으로]
  10. [풍악] 가을의 금강산을 부르는 말, 삼월인데 풍악이라고 부른 것은 의도적으로 아름다움을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음 [본문으로]
  11. [은같은 무지개, 옥 같은 용의 꼬리] 용의 꼬리는 폭포를 말하고 있음, 직유법과 은유법 이태백의 '망여산 폭포'를 연상시킴 [본문으로]
  12. [들을 때는 우뢰같더니 보니까 눈같구나.] 청각적 심상과 시각적 심상을 잘 살림 [본문으로]
  13. [호의현상] 흰 저리기와 검은 치마, 몸이 희고 날개 끝이 검은 선학을 비유 및 의인화 [본문으로]
  14. [녀산] 중국의 산, 여기에서는 금강산을 의미함 [본문으로]
  15. [녀산 진면목이 여기서 다 보이는구나] 소동파의 '제서림사벽'의 시구를 인용 [본문으로]
  16. [날거든 뛰지 말거나 섰거든 솟지 말거나] 금강산 일만이천봉의 변화 무쌍함을 표현, 활유법과 대구법 [본문으로]
  17. [북극성] 임금을 상징 [본문으로]
  18. [높을시고 망고대, 외로운 형망봉이] 영탄법, 의인법, 도치법, 대구법 [본문으로]
  19. [너] 망고대와 혈망봉 [본문으로]
  20. [노국] 공자가 살던 노나라 [본문으로]
  21. [은하수] 폭포, 은유법 [본문으로]
  22. [산중] 금강산 [본문으로]
  23. [취선] 자연에 취한 자신을 의미, 은유법 [본문으로]
  24. [시선] 이백을 의미함 [본문으로]
  25. [우개지륜] 새깃으로 만든 수레, 신선이 타는 수레, 결국 자신이 신선임을 표현한 것 [본문으로]
  26. [빙환] 얼음같은 흰 비단 [본문으로]
  27. [이] 경포대 [본문으로]
  28. [절효정문] 충신, 효자, 열녀를 위해 세운 문 [본문으로]
  29. [비옥가봉] 요순 시대에 백성들이 착해 집집마다 벼슬을 줄만 하다는 뜻으로 '태평성대'와 같은 의미로 쓰임 [본문으로]
  30. [목멱] 서울의 남산 [본문으로]
  31. [왕정] 신분을 암시함 [본문으로]
  32. [유회] 마음 속 품은 생각 [본문으로]
  33. [선사] 신선이 타는 뗏목 [본문으로]
  34. [가득 성난 고래] 성난 파도를 비유, 활유법 [본문으로]
  35. [육합] 동서남북과 상하를 의미, 천지사방과 같은 뜻 [본문으로]
  36. [흰눈] 파도의 포말을 의미, 은유법 [본문으로]
  37. [부상지척] 해 뜨는 곳 근처 [본문으로]
  38. [서광천당] 소동파의 시에서 인용한 것으로 길게 뻗은 상서로운 빛, 달빛을 은유 [본문으로]
  39. [계명성] 샛별, 금성, 새벽 별 [본문으로]
  40. [류하주] 신선이 먹는 술 [본문으로]
  41. [상계진선] 하늘 나라의 참된 신선 [본문으로]
  42. [황정경 일자를 어찌 잘못 읽어 두고] 이백이 천상에서 황정이라는 뜰에서 한 글자를 잘못 읽어 귀양와서 신선이 되었다는 것에서 유래 [본문으로]
  43. [구만리 창공에 날아오를 것만 같구나.] 동파 소식의 적벽부에 나오는 구절을 인용 [본문으로]
  44. [천산만낙] 온 세상, 천 개의 산과 만 개의 촌락 [본문으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