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연시조] 맹사성의 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
강호에 봄이 오니 깊은 흥이 절로 난다.
막걸리를 마시며 노는 시냇가 1에 싱싱한 물고기 2가 안주로다.
이 몸이 한가함도 역시 임금의 은덕이로다. <춘사(春詞)> 3
강호에 여름이 오니 초당에 일이 없다.
신이가 있는 강의 파도는 보내는 것이 바람이다.
이 몸이 시원한 것도 역시 임금의 은덕이로다. <하사(夏詞)> 4
강호에 가을이 오니 고기마다 살쪄있다.
이 몸이 소일하는 것도 역시 임금의 은덕이로다. <추사(秋詞)> 6
강호에 겨울이 드니 눈 깊이가 한 자 넘는다.
삿갓 비스듬히 쓰고 도롱이로 옷을 삼아
이 몸이 소일하는 것도 역시 임금의 은덕이로다. <동사(冬詞)> 7
작가
맹사성(1360~1438), 최영의 손녀 사위
호는 고불, 동포이며 시호는 문정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의 문신
제재
사 계절의 강호(자연 친화적)의 삶
주제
자연 친화적인 삶과 임금을 향한 충성심
갈래
연시조
의의
우리나라 최초의 연시조
출처
청구영언
같이 보면 좋은 글
반응형
'교육 > 국어(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한시] 강촌 - 두보(江村) (0) | 2017.01.11 |
---|---|
[여류 시조] 이화우 흩뿌릴 제 - 계량 (0) | 2017.01.07 |
[시조] 황진이의 청산리 벽계수야 (0) | 2016.12.29 |
[연시조] 이황의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1) | 2016.12.28 |
[기행시] 정철의 송강가(松江歌) 관동별곡(關東別曲) (0) | 2016.12.22 |
[시조] 송강 정철 "어와 동량재(棟梁材)를" (0) | 2016.12.17 |
허전의 고공가 (2) | 2016.12.06 |
이원익의 고공답주인가 (0) | 2016.12.06 |
[시조] 이순신 장군의 "한산도가(閑山島歌)" (0) | 2016.11.22 |
[시조] 길재의 회고가(오백년 도읍지를) (0) | 2016.11.22 |